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정부 복지 혜택의 대부분은 '가구원 수'에 따라 중위소득 기준을 다르게 적용합니다. 같은 소득이라도 가구원이 몇 명이냐에 따라 복지 대상 여부가 바뀌는 구조이기 때문에 꼭 체크해야 합니다. 이 글에서는 1인~7인 가구까지 중위소득 100% 기준 금액과 적용 사례를 정리해드립니다.
📌 1. 가구원수별 중위소득 100% 금액표
가구 구성원이 많을수록 기준 금액이 높아지며, 정부는 해당 기준을 매년 고시합니다. 2025년 기준 가구원수별 중위소득 100%는 아래와 같습니다.
가구원 수 | 중위소득 100% 월소득 |
1인 가구 | 2,231,026원 |
2인 가구 | 3,683,615원 |
3인 가구 | 4,755,201원 |
4인 가구 | 5,814,482원 |
5인 가구 | 6,832,285원 |
6인 가구 | 7,811,414원 |
7인 가구 | 8,758,907원 |
이 기준은 생계급여, 주거급여, 긴급복지 등 정부 지원을 판단하는 핵심 수치입니다.
💡 2. 가구원 수에 따른 복지 가능성
같은 금액을 벌더라도 가구원 수가 다르면 지원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- 예시 1: 월소득 300만 원이면
- 2인 가구: 기준 이하 (가능)
- 1인 가구: 기준 초과 (불가능) - 예시 2: 월소득 580만 원이면
- 4인 가구: 기준 이하 (가능)
- 3인 가구: 기준 초과 (불가능)
이처럼 중위소득 100% 기준은 가구원 수와 세대주 기준에 따라 달리 판단됩니다.
🔍 3. 중위소득 기준 적용 복지제도
가구원수별 중위소득 100%는 다양한 제도에서 기준선 역할을 합니다.
- 청년 월세 특별지원
- 에너지바우처 지급
- 긴급복지지원제도
- 한부모 가족 지원
- 기초생활보장 의료급여
각 제도별로 기준은 다를 수 있지만, 기본적으로 중위소득 100% 이하가 신청 가능 조건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✅ 4. 요약 정리
- 중위소득 100%는 가구원 수에 따라 금액이 다르게 적용됨
- 같은 소득도 가구 구성에 따라 복지 수급 여부 달라짐
- 각종 정부 지원은 이 기준을 토대로 결정되니 반드시 확인 필요
가구원 수별 기준을 잘 숙지하고, 본인 상황에 맞는 복지제도에 빠짐없이 신청해보세요.